서브비주얼이미지

정통 자료실

  • 시사 및 이슈
  • 스피치 심리학

고객센터 031-922-2227

시사 및 이슈

Home > 본원소개 > 시사 및 이슈
산업현장의 노령화 대비책 서둘러야
관리자 2013.12.28 1196

산업현장의 노령화 대비책 서둘러야 [경향신문 사설-20130910]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생산직 노동자의 절반이 50대 이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대 청년층이 8%에 불과한 점을 감안하면 기형적인 인력구조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인구 고령화 못지않게 생산현장의 노쇠화는 미래 우리 경제의 큰 짐이다.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산업현장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탓이다. 이들이 한꺼번에 퇴직할 경우 숙련된 기술인력의 공동화 현상이 불보듯 뻔하다. 이들의 현장 경험을 전수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고용의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우리 산업구조의 세대교체도 절실하다. 미래 먹거리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한국경제의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

 

무역협회 보고서를 보면 산업현장의 인력 분포는 전형적인 역피라미드 구조다. 50대 이상 준고령층과 30~49세 장년층이 각 48.3%42.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15~29세 청년층 비중은 9%가 채 안됐다. 생산직 평균 연령도 지난 200040.9세에서 올해는 48.3세로 높아졌다. 2년마다 한 살씩 평균 연령이 올라간 셈이다. 1990년대 이후 젊은층의 생산직 기피현상이 맞물리면서 생긴 결과다. 산업현장의 노령화는 제조업체 인건비 부담과 함께 일시 퇴직에 따른 경험과 노하우를 어떻게 살리느냐가 관건이다.

 

이는 우리 산업구조의 노쇠화와 맞물린 근원적인 문제다. 한국경제를 먹여살리고 있는 주요 산업은 대부분 성숙기 단계를 넘어섰다. 수출 주력 업종인 자동차와 선박·화학·반도체는 창업한 지 30~40년을 넘어섰다. 그동안 일본 기술을 들여와 먹고살았지만 지금은 후발국인 중국에 쫓기고 있다. 업종의 속성상 신기술 개발과 혁신으로 버티는 데도 한계가 있다. 제조업의 중요성은 두말 할 필요가 없지만 한계사업은 구조조정을 통해 세대교체를 해야 한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는 우리가 10년 안에 풀어야 할 주된 과제 중 하나다. 은퇴 후 일자리와 사회복지 체계의 대대적인 수술이 뒤따르지 않으면 사회적 혼란이 불가피하다. 산업현장에는 이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살릴 수 있는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고령화에 따른 고임금 구조를 극복하려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것도 대안의 하나다. 우리 사회의 만성적인 생산직 기피 현상도 극복해야 한다. 향후 20~30년 후를 내다본 신성장동력 발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과 대기업의 과감한 투자를 통해 미래 먹거리 업종에서 일자리를 만들어야 산업현장의 고령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기초생활 벗어날 유인 제공 옳은 방향이다
리먼 사태 5년 한국 체질 얼마나 강해졌나